경제사회학
사회개발정책의 등장 배경은 무엇일까? 그 내용은 무엇일까? 결과적으로, 성공했을까?
현대사회학이론
라캉이 바라보는 자아와 주체 형성 과정을 살펴보자.
라이히가 1933년 출판한 파시즘과 대중심리 저서를 통해 파시즘의 출현 이유를 이데올로기적으로 파악해보자.
부르디외의 아비투스를 통한 구별짓기의 작동 방식을 알아보자.
70년대 초반부터 70년대 후반까지의 개발재정 방향성인 저축동원의 내용과 실제 정책에 관해 알아보자.
감세국가는 무엇인가? 박정희 시대 한국은 감세국가였나?
60년대 중반부터 70년대 초반까지의 개발재정 방향성인 조세동원의 내용과 실제 정책에 관해 알아보자.
담론과 지식의 역사를 기반으로 한 푸코의 고고학에 대해 알아보자.
푸코가 바라보는 억압과 자유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자.
푸코가 바라보는 권력과 주체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자.
1950년대와 1960년대, 한국 경제 구조는 어떻게 변화했을까?
1960년도 이후 이어진 수출 주도형 성장 구조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그에 대한 한국 정부의 대응을 살펴보자.
발전주의는 무엇일까? 발전주의의 실행을 위한 조건에는 무엇이 있을까?
한국 경제는 일본 식민지 하에서 발전했는가, 착취 당했는가?
한국사
조선왕조의궤의 제작과정부터 보관기까지를 살펴보자.
조선왕조실록의 편찬과정부터 보관기까지를 살펴보자.
성과 본관, 족보의 역사적 기원과 의미에 대해 알아보자.
전란 속 고려가 어떻게 국난을 헤쳐나갔는지 팔만대장경을 사례로 살펴보자.